user::f9477b39-501b-48ce-9b93-59bb1d7d6db0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3:44:56 / Auto Exposure / 1200x920 / F5.6 / 1/13 (0.077) s / ISO-100 / 0.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16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3:47:28 / Auto Exposure / 1200x920 / F5.6 / 1/10 (0.1) s / ISO-100 / 0.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16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3:50:08 / Auto Exposure / 1200x920 / F5.6 / 1/4 (0.25) s / ISO-100 / 0.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16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3:50:39 / Auto Exposure / 1200x920 / F5.6 / 1/13 (0.077) s / ISO-100 / 0.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30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3:51:06 / Auto Exposure / 1200x920 / F5.6 / 1/13 (0.077) s / ISO-100 / 0.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32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4:00:47 / Auto Exposure / 1200x920 / F4.5 / 1/40 (0.025) s / ISO-1250 / 0.33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135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4:01:12 / Auto Exposure / 1200x920 / F4.5 / 1/13 (0.077) s / ISO-100 / 0.33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100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4:01:36 / Auto Exposure / 1200x920 / F2.8 / 1/125 (0.008) s / ISO-100 / 0.33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200mm / 7mm
Canon / Canon EOS 5D Mark II / 2012:06:30 / 14:31:12 / Auto Exposure / 1200x920 / F2.8 / 1/15 (0.067) s / ISO-100 / 1.00EV / Auto WB / Flash not fired / 78mm / 7mm


호남 고속 국도와 전주, 이리가 갈라지는 곳에 초남리라 불리는 마을이 있다. 이곳이 바로 '호남의 사도'라고 불리는 유항검의 생가 터가 자리한 곳이다.

1754년 이곳 초남리에서 아버지 유동근과 어머니 안동 권씨의 둘째아들로 태어난 그는 진산 사건으로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가 된 윤지충과 함께 


전라도 지방에 복음을 전파하는 데 거의 절대적인 공헌을 한 초대 조선 천주교회의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또 그의 아들 유중철(요한)은 이순이(루갈다)와 평생 동정 부부로 살아간 것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들 동정 부부는 1797년 혼배 후 


1801년 치명할때까지 4년간 이곳에서 동정 생활을 했다.


윤지충과 이종 사촌간, 권상연과는 외종 사촌간이 되는 유항검은 전주 초남리에서 높은 덕망과 많은 재산을 소유한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많은 재산과 후덕한 인품으로 인근의 백성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이 됐던 만큼 그는 과거 급제를 목표로 학업에 정진했다.


대부분 양반의 길이 그러하듯이 유항검 역시 입신 양명을 꿈꾸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벼슬길을 포기하고 일신의 수양을 통해 세상의 어지러움에서 


초연하고자 했다.


유항검은 어머니 권씨를 통해 권철신과 일족이 될 뿐 아니라 이종 사촌인 윤지충을 통해, 이승훈, 정약전과 인척간이었으므로 이들을 통해 천주교의 교리를


 접할 수 있었다.


1784년 늦은 가을 유항검은 양근의 권철신 집을 찾아가 그 집에서 천주교 서적과 천주상 등을 목격하고 권철신의 아우 일신에게서 교리를 듣는다. 


천주교 교리의 오묘한 진리를 들어 받아들인 그는 마침내 권일신을 대부로 하고 이승훈으로부터 세례를 받게 된다.


고향에서 암암리에 전교 활동에 힘쓰던 그는 1786년 봄, 조선 천주교회의 창설 주역이자 가성직 제도를 설정한 이승훈에 의해 권일신, 홍낙민, 최창현,


 이존창 등과 함께 신부로 임명된다.


그러던 중 1787년 그는 가성직 제도의 부당성을 깨닫고 이승훈에게 그 시정을 요청하는 한편 북경에 밀사를 보내어 오류를 범한 가성직 제도에 대해 


정죄(淨罪)하고 선교사들의 지시를 받도록 촉구했다. 그리하여 윤우일이 밀사로 파견됐고 유항검은 그의 후견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초남리는 또한 1794년 최초로 조선에 입국한 외국인 선교사인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유항검의 초청으로 전라도에서는 처음으로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주 신부는 그의 집에 머물며 성사를 집전하고 강론을 하는 한편 유항검과 함께 여러 가지 교리를 진지하게 토론했다. 이 때 그의 아들 유중철은 첫영성체를 


하게 된다.


1801년 신유박해의 회오리는 이곳 초남리에 거세게 불어 닥쳤다. '사학의 괴수'로 낙인 찍힌 그는 전라도 지방에서는 가장 먼저 붙잡혀 혹독한 고문을 받고 


서울로 압송됐다.


외국인 신부의 입국을 도와 내통했고 사교를 믿었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에 청원서를 냈다는 죄목으로 대역 부도(大逆不道)의 죄를 적용해 머리를 자르고 


사지를 자르는 능지 처참(陵遲處斬)형을 언도받는다.


그리하여 다시 전주 감영으로 이송된 그는 그 해 10월 24일 참수되는데 이 때 그의 나이 46세였다. 그리고 부인 신희, 큰아들 유중철, 며느리 이순이, 


둘째아들 유문석, 동생 유관검 등 그의 모든 일가 친척들이 거의 처형되고 나이 어린 세 자녀는 유배되는 등 집안은 풍비 박산이 나고 말았다. 이들의 


시신은 일꾼들과 신자들이 거두어 백사발에 각각 이름을 적어놓고 김제군 제남리에 가매장했는데 지금은 전주 치명자산에 모셔져 있다.